본문 바로가기

Self-improvement

2022년 독서 결산 & 다독의 이유 & 다독의 효과

728x90
반응형

2022 정말 많은 책을 읽었습니다. 특히, 2022년에는 오디오북을 듣기 시작했고, 주말마다 도서관을 가게됨으로 많은 독서량을 가질 있었습니다.

 

▷▶ 독서 통계

독서를 완료한 책과 현재 읽고 있는 책을 포함해서 145권을 읽었습니다. 이중에서 소설이 차지하는 82권으로 56% 차지하네요. 독서의 편식이 조금은 심했던 같습니다. 최대한 고전을 많이 읽어 볼려고 노력을 했지만, 14권밖에 읽지를 못했네요.

 

 

도서종류로는 오디오북 보다는 종이책과 전자책의 비율이 높았습니다. 종이책 43 30%, 전자책 32 22%, 오디오북 70 48% 입니다. 특히, 2022년에는 본격적으로 주말마다 도서관에 가면서 종이책의 비율이 높아졌습니다.

 

 

출간된 서적들은 대부분 최근에 출간된 베스트 셀러를 위주로 읽은 같습니다. 2020 이후에 출간된 서적을 읽은 권수가 62권이나 되네요. 이것도 현재 독서습관에서 개선되어야 부분으로 보입니다.

 

 

오디오북에서 가장 많은 들은 책은 소설과 고전 입니다. 특히, 소설과 고전은 전문 성우가 실감나게 연기를 하면서 읽어주기 때문에 너무나 재미있게 들을 있었습니다. 다만 아쉬운점은 책의 호흡이 나의 호흡과 맞추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책을 읽을 때에는 마음에 드는 부분을 다시 읽고, 천천히 읽을 있지만, 오디오북은 항상 일정한 시간에 맞추어서 들어진다는 것입니다. 그래도 오디오북을 통해서 다양하고 많은 책을 읽을 있는 것은 장점입니다. 오디오북으로 자기계발 서적을 듣는것은 너무나 어렵습니다. 가능하면, 소설이나 고전을 듣는 것을 추천합니다.

 

 

반면에 종이책과 전자책으로는 다양하게 읽었습니다. 자기계발, 인문학, 에세이, 재테크 다양하게 읽을려고 노력했던 것이 보입니다.

 

 

▷▶ 다독을 할 수 있었던 이유?

다독의 이유는 오디오북의 영향이 컸습니다. 무려 70권을 오디오북으로 들었으니, 오디오북의 영향이 매우 컸네요. 저의 경우는 평소 운동으로 자전거를 타고, 출퇴근도 대중교통이 불가능하여 차를 이용합니다. 그때마다 항상 오디오북을 듣습니다. 오디오북으로 소설위주로 들었습니다. 전문 성우배우들이 읽어주어서 마치 드라마를 보는듯한 기분으로 듣습니다. 소설과 에세이는 오디오북으로 들을 있으나, 나머지 장르는 듣기 어려웠습니다.

또한, 다독의 두번째 이유는 도서관에 가는 일정을 만든 것입니다. 저는 주말마다 아이와 도서관에 갑니다. 도서관에서 아이는 책수업을 듣고, 저는 책을 읽습니다. 또한, 도서관에 매주마다 가기 때문에 책을 빌려서 읽는 것도 당연한 루틴이 되었습니다.

 

▷▶ 다독의 효과

2022 140여권을 읽으면서, 어떠한 효과가 있었을 까요? 책을 많이 읽는다고, 당장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도 변화는 있습니다.

 

첫번째는 삶을 바라보고 생각하는 태도를 갖는 것입니다. 소설을 읽으면, 다양한 환경과 삶을 있습니다. 소외받는 소수의 사람에 대해서 살펴보게 되고, 역사속에 있었던 사람들의 생활도 보게 됩니다. 또한, 사람이 어떻게 변화하게 되었고, 사람은 이러한 행동을 밖에 없었는지 다양한 시선으로 삶을 바라봅니다. 이러한 바라보는 시선은 상대방을 배려하는 태도를 만들어 준다고 생각합니다.

 

두번째는 자존감이 높아집니다. 새벽에 일어나서 독서를 하고 있는 자신을 사랑하게 되고, 주말에 도서관에 있는 자신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세번째는 생각의 범위가 넓어지고, 포괄적 사고를 가질 있습니다. 독서를 하면, 다양한 장르를 접근합니다. 미술, 역사, 음악, 과학 다양한 분야에 대해서 흥미를 갖고 접근을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분야를 읽다 보면, 사고의 폭이 넓어질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Self-improv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노트 - 군주론  (0) 2023.02.09
독서노트 - 이건희 컬렉션  (0) 2023.02.08
독서노트 - 대항해시대의 탄생  (0) 2022.11.22
독서를 해야 하는 이유  (0) 2022.11.05
독서노트 - 마흔에 읽는 니체  (0) 2022.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