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lf-improvement

(no. 48) 독서

728x90
반응형

30대 후반부터 내가 가장 열심히 했던 것은 독서이다. 지금 생각해도, 내가 가장 스스로 잘 선택하고 시작한 것이 독서라고 생각한다. 독서를 하면서 계속 고민했던 것은 어떻하면 책의 내용을 기억하고, 습득하고, 실천할 수 있을까 이다. 그것을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들을 찾아봤었다. 독서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양한 이야기가 있다. 헨리 데이빗 소로우의 "월든"에서는 독서에 대해서 이렇게 이야기 한다.

독서를 잘하는 것, 즉 참다운 책을 참다운 정신으로 읽는 것은 고귀한 ‘운동’이며, 오늘날의 풍조가 존중하는 어떤 운동보다도 독자에게 힘이드는 운동이다. 그것은 운동선수들이 받는 것과 같은 훈련과, 거의 평생에 걸친 꾸준한 자세로 독서를 하려는 마음가짐을 요한다. 책은 처음 쓰였을 때처럼 의도적으로 그리고 신중히 읽혀야 한다. (155page)

책의 수는 정말 많다. 그렇기 때문에 참다운 책을 참다운 정신으로 읽어야 한다. 참다운 정신으로 읽어야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최재천 교수님도 "최재천의 공부"에서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

독서는 일입니다. 빡세게 하는 겁니다. 읽어도 되고 안 읽어도 되는 책을 그늘에 가서 편안하게 보는 건 시간 낭비이고 눈만 나빠져요.

독서는 마치 일을 하듯이, 열심히 해야한다. 그래서 열정적으로 독서하는 방법 중에 이 방법을 선택하기로 했다. 신정철 작가님의 "메모 독서법"이다. 책에서는 메모독서법 5단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 1단계 : 책에 메모하기
    • 밑줄을 친다.
    • 색을 달리하여 중요도를 분류한다.
    • 책의 여백에 질문하고, 답을 찾는다.
  • 2단계 : 독서 노트 쓰기
    • 중요한 문장, 기억하고 싶은 문장을 필사한다.
    • 떠오르는 생각과 질문을 적는다.
    • 독서노트를 다시 읽는다.
  • 3단계 : 독서 마인드맵 작성하기
    • 키워드를 뽑는다.
    • 범주화를 통해 계층형 목록을 만든다.
    • 색상이나 기호로 강조 표시한다.
  • 4단계 : 메모 독서로 글쓰기
    • 질문을 찾는다.
    • 핵심 문장을 쓴다.
    • 글의 설계도를 그린다.
  • 5단계 : 메모 독서 습관 만들기
    • 규칙적으로 읽는 습관을 들인다.
    • 독서 모임에 참여한다.
    • 완벽하게 쓰려고 하지 않는다.

실천하기 쉽지는 않다. 우선 가장 먼저 실천해야 하는 것이 “1단계-책에 메모하기” 이다. 우선 1단계부터 실천하고자 노력해보자.

728x90
반응형

'Self-improv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 50) 겨울  (0) 2024.01.24
(no. 49) 서재  (1) 2024.01.23
(no. 47) 돈  (1) 2024.01.21
(no. 46) 공부  (0) 2024.01.20
(no.45) 차이퉁  (0) 2024.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