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입
우연히 PDS다이어리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PDS다이어리에서 P는 PLAN(계획)이고, D는 Do(실행), S는 See(보다)입니다. 단어 그대로 하루를 계획(P)하고, 그날 있었던 일을 기록(D)하고, 기록된 내용을 보면서 하루를 복귀(S)하는 다이어리입니다.
기존에 프랭클린 다이어리, 3P 바인더 등 다양한 다이어리를 사용하였고, 심지어는 저에게 맞는 다이어리 양식을 만들어서 사용하기도 했었습니다. 그러다가, 우연히 PDS다이어리를 발견하고 ‘이거다‘ 싶었습니다. 하루에 있었던 일들을 더 디테일하게 살펴보고, 하루를 반성할 수 있는 시간도 만들어 주는것이 너무나 매력적이었습니다. 그래서 PDS다이어리를 사용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기존에 저는 원노트, 노션, 옵시디언 등 다양한 디지털 메모툴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다 보니, 기존에 종이로 작성하던 다이어리들을 디지털화 시켜서 작성하는 방법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그래서 원노트로 3P바인더 양식을 만들기도 하고, 굿노트로 다이어리 양식을 만들기도 하고, 노션으로도 다이어리 양식을 만들었습니다.
처음에는 PDS다이어리를 옵시디언에 만들려는 시도를 하였습니다. 옵시디언 코딩이 익숙하지 않아서, 제가 원하는 모습대로 디테일하게 만드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특히나 PDS다이어리는 그날 있었던 내용에 대해서 통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되었습니다. 그래서 ‘구글워크시트‘를 사용하여 만들기로 하였습니다.
2. PDS다이어리 구성
2.1. 전체 구성
PDS다이어리는 전체 6가지 구성으로 되어있으며, 각 구성에 대해서 제품 구매사이트에서 매우 자세하게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다이어리 구성에 대해서는 사이트를 참고해서 작성했습니다.
2.2. Look Back & Look Forward
작년을 되돌아 보고, 잘한 점과 아쉬운 점을 자유롭게 작성하고, 다가올 한해에 대해서 꼭 이루고 싶은 목표를 작성하는 공간이라고 합니다.
다른 다이어리와 차이점은 작년을 되돌아 보는 공간이 있다는 것입니다.
2.3. Year
한 해의 계획에 대해서 작성하는 공간입니다. 프랭클린 다이어리에서 제공하는 양식과 유사합니다. 한눈에 1년의 일정이 다 보이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1년 계획을 구상할 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저의 경우는 이러한 부분이 작성에 어려움이 느껴졌습니다. 확정 지어서 날짜를 지정하기에 부담감이 있어서, 오히려 기피하게 되었습니다.
2.4. Monthly
한 달의 주요일정을 살펴보는 공간입니다. 저는 대부분의 일정을 구글 캘린더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이 또한, 중복으로 관리되는 문제가 있어서, 오히려 불편하게 보였습니다.
2.5. Weekly
PDS다이어리의 주요 특징 중에 하나인, weekly 파트 입니다. 왼쪽에는 주간계획을 작성하고, 각 날짜마다 PLAN, DO, SEE의 공간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3. 구글워크시트 적용 장점
위 PDS다이어리 양식에서 저는 Weekly부분만 구글워크시트에 적용하였습니다. 구글워크시트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3.1. 언제, 어디에서 접속이 가능
구글워크시트는 웹기반의 플랫폼입니다. 형태는 마치 엑셀과 유사합니다. 웹기반이기 때문에 태블릿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핸드폰으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물론 PC로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게다가 위치에 제한이 없습니다. 집에서도 접속이 가능하고, 회사에서도 접속이 가능합니다.
3.2. 통계 및 분석이 가능
PDS의 가장 큰 특징은 하루를 돌아보는 것입니다. 일하는데 몇 분을 보냈고, 여가시간은 몇 분을 소비했는지, 자기개발에 대한 투자는 얼만큼 했는지를 통계적으로 돌이켜 보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한 통계분석에 구글워크시트는 파워풀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제가 한 주를 어떻게 보냈는지 그래프로 표현한 이미지 입니다.
3.3. 빠른 속도로 기록이 가능
물론 수기로 작성하는 것도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워크시트를 활용하면, 매우 빠른 속도로 하루를 리뷰하고, 정리도 빠른 속도로 가능합니다.
4. 구글워크시트 적용 화면 구성
제가 구글워크시트에 적용한 화면이미지를 보여드리겠습니다.
4.1. 주간계획, 습관추적, 주간통계
제일 좌측에는 주간계획, 습관추적, 주간통계, 습관통계 탭이 있습니다.
- 주간계획은 그 주의 계획을 세우는 공간입니다. 저는 일과 삶을 나누어서 만들었는데, 다음 양식을 만들 때에는 구분이 없어도 된다고 생각되네요. 일 또한 저의 삶이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 습관추적은 1주일 간 저의 습관을 추적하는 공간입니다. 추적된 습관은 습관 통계에서 분석이 이루어 질 것입니다.
- 주간통계는 1주일간 자기개발, 가족과 시간, 여가, 일, 보조일, 수면에 몇분을 투자했는지 통계로 나타낸 공간입니다.
4.2. PDS구성
각 요일에는 PLAN, DO, SEE를 구성했습니다.
- PLAN에는 시간 마다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제일 하단에는 완료, 진행중, 연기, 취소 등의 아이콘을 만들어서 복사해서 사용하도록 하였습니다.
- DO에는 가로로 6칸을 생성해서, 각 시간당 60분을 표현하였습니다.
- SEE에는 첫 번째 행에 잘못한 일, 두 번째 행에 감사한 일, 세 번째 행에 그날 있었던 일을 작성하는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각 요일 하단에 통계 부분을 만들었습니다. 이 통계는 매일 몇 분동안 어디에 시간을 투자했는지 자동으로 계산하는 공간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어떻게 만들었는지 계속 설명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태그
PDS다이어리, 구글워크시트, 디지털다이어리, 다이어리, 플래너, 자기계발, 시간관리, 생산성, 통계, 분석, 주간계획, 습관추적, PDS, PLAN, DO, SEE, 옵시디언, 3P바인더, 프랭클린플래너, 디지털플래너, 템플릿, 엑셀, 스프레드시트, 웹기반, 시간투자, 일일계획, 주간통계, 습관통계, 기록, 회고, 일일회고, 주간회고, 효율성, 업무효율, 일정관리, 구글캘린더, 메모, 디지털메모, 원노트, 노션
'Self-improv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워크시트를 이용한 PDS다이어리 작성하기 - 2편 (0) | 2025.01.14 |
---|---|
독후감: 무라카미 하루키의 1Q84 1: 4월-6월 (0) | 2025.01.09 |
독서노트 - 소년이 온다 (한강) (0) | 2024.12.12 |
작별하지 않는다 - 한강 (독서노트) (1) | 2024.12.07 |
(no. 60) 솥밥 (1) | 2024.02.05 |